NerdStory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erdStory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 NERDstory (729)
    • MIT Sloan (87)
    • Leadership (50)
    • Art Lover (23)
    • Golf Story (26)
    • Power Review (55)
    • O2O (10)
    • Traver Log (16)
    • Macro Econ (15)
    • Block Chain (12)
    • Internet & Beyond (43)
    • Next TV Story (120)
    • Smart Phone (168)
    • SNS (68)
    • App Story (13)
    • Business English (0)

검색 레이어

NerdStory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MySpace

  • '싸이월드-마이스페이스' 어떻게 다른가

    2008.04.23 by nerdstory

  • SNS 사이트 Top 20위

    2008.03.09 by nerdstory

  • 마이스페이스. 페이스북 방문자수 '뚝'

    2008.02.12 by nerdstory

  • MySpace와 Facebook, 플랫폼 개방 경쟁

    2007.10.23 by nerdstory

  • 마이스페이스, 한국 진출 의미

    2007.10.23 by nerdstory

  • 모바일 SNS 성공요인은?

    2007.10.19 by nerdstory

  • SNS와 VoIP의 결합

    2007.10.19 by nerdstory

  • 소셜 웹의 Refactoring

    2007.09.13 by nerdstory

'싸이월드-마이스페이스' 어떻게 다른가

세계 2억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는 인맥구축서비스(SNS) ‘ 마이스페이스 코리아’가 최근 국내에서 베일을 벗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본사를 둔 마이스페이스는 2004년 1월 공동창업자인 크리스 드월프와 톰 앤더슨이 세웠다. 전직 인디 록밴드 기타·보컬 주자로 활약했던 톰 앤더슨이 전세계 뮤지션들과 팬들을 시·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연결시켜주자고 제안한 아이디어에서 출발. 현재는 전세계 26개국. 29개 지역에서 15개 언어로 서비스되는 SNS 제왕으로 등극했다. 마이스페이스가 한국에 첫 발을 내딛자마자 사람들의 시선은 2200만명의 회원을 확보하고 있는 국내 SNS 1위 ‘ 싸이월드(cyworld.com)’와의 공통점을 찾는데 집중되고 있다. 과연 그럴까? 둘의 전략과 미래상은 각각 어떤 차이..

SNS 2008. 4. 23. 10:37

SNS 사이트 Top 20위

Top Social Networks(2008년 2월 기준) ㅇ 마이스페이스와 페이스북 다음으로 classmates.com이 3위를 달리고 있네요. ㅇ 마이스페이스과 Xanga.com은 마이너스 성장을 했구요 ㅇ 페이스북은 77% 플러스 성장을 했네요. ㅇ 트위터는 4368% 성장...우와. 역시 웹 비지니스는 미국에서부터 시작하는게 맞는 것 같군요.

SNS 2008. 3. 9. 05:59

마이스페이스. 페이스북 방문자수 '뚝'

미 SNS세대 '피로증후군' : ㅇ 지난 4개월간 SNS의 1인당 평균체류시간 14% 하락 ㅇ 마이스페이스 월UV 7200만명('07. 10) --> 6890만명('07.12) ㅇ 온라인 광고 클릭율 : 0.2% SNS 광고 클릭율 : 0.04% (1만명 중 평균 4명) UCC의 발전방향은 SNS이다.

SNS 2008. 2. 12. 13:47

MySpace와 Facebook, 플랫폼 개방 경쟁

최근 SNS 사이트들의 플랫폼 공개가 줄을 잇고 있다. 17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Web2.0 Summit의 자리에서 MySpace의 Chris DeWolfe CEO는 모회사인 News Corp.의 Rupert Murdoch 회장과 함께, Facebook에 대항하기 위해 MySpace의 플랫폼을 공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일정은 미정으로 MySpace의 플랫폼 공개 시점은 회사 측의 예상보다 훨씬 늦어질 가능성도 있다. 게다가 처음부터 모든 유저에게 플랫폼을 공개하지 않고, 우선 Sandbox 환경에서 100만~200만 명에게 베타 테스트를 한 후 정식 런칭할 것이라고 밝혔다. MySpace는 HTML 위젯을 모으는 디렉토리를 제공하며, 사이트의 프라이버시 관리 기능을 확충할 예정이다...

SNS 2007. 10. 23. 16:59

마이스페이스, 한국 진출 의미

전세계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의 절대 강자 마이스페이스의 한국 시장 진출은 북미·유럽에 비해 아직 ‘공’을 들이지 못한 동북아 지역, 특히 중국 진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2000만명 회원의 싸이월드가 굳건한 한국 시장 독자 진출은 얼핏 이해가 안되는 대목이기 때문이다. 지인들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형성한 싸이월드와 달리 전세계 사람들과 인맥을 형성할 수 있다는 차별성도 내세울 수 있다. 마이스페이스 한국사무소 관계자도 “싸이월드가 남에게 자신의 일상을 보여주는 과시형이라면 마이스페이스의 키워드는 문화 트렌드를 서로 공유하고 이끌어 가는 ‘라이프스타일’에 초점이 맞춰졌다”고 밝혔다. 4000만명을 넘어선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도 마이스페이스로서는 큰 매력이다. 모바일 ..

SNS 2007. 10. 23. 10:32

모바일 SNS 성공요인은?

실제 많은 SNS사업자들과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모바일 SNS시장 확보를 위해서 경쟁을 시작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사업자의 경우 3G서비스에 통용될 킬러앱을 찾기위해서 UCC나 SNS에 대한 기대가 큰 것 같다. 우리나라의 경우 SKT가 tossi서비스와 isbox서비스를 동시에 론칭하면서 기존의 SNS사업자나 UCC사업자들과의 본격적인 경쟁에 나서는가 하면, 일본은 KDDI의 EZ GREE에 대응해 NTT도코모에서는 ixen을, Softbank에서는 모바일 마이스페이스를 준비중에 있다. 주피터리서치의 조사결과처럼, 휴대폰은 친구들과의 사진, 동영상등의 정보 공유와 SMS나 알리미 기능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활용되어지고 있다. 사업자들은 휴대폰의 특성과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 도구..

SNS 2007. 10. 19. 19:30

SNS와 VoIP의 결합

세계 최대 SNS사이트 MySpace가 다음달부터 전세계 20개국에서 무료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eBay의 인터넷전화 서비스 Skype는 MySpace의 IM서비스에 음성채팅 기능 'MySpaceIM'을 제공키로 양 사가 합의했다고 17일 발표했다. 11월부터 최신 버전의 Skype를 다운받는 MySpace 유저들간에는 무료 VoIP 통화와 인스턴트메시징(Instant Messaging, 이하 IM)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번 제휴는 대표적 SNS 사이트와 VoIP 사업자들간의 제휴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 Skype의 임시 CEO를 맡고 있는 마이클 반 스와이지(Michael van Swaaij)는 "세계 최대의 VoIP 사업자와 세계 최대의 동영상 및 SNS 업체가 손을 잡았다"라고 이..

SNS 2007. 10. 19. 19:28

소셜 웹의 Refactoring

주식시장에서 일상생활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는 주기가 있다. 이는 거시경제는 물론 심지어 미생물학에도 해당되며 기술도 예외는 아니다. 기술시장에도 기복이 있어 롤러코스터와 같이 요동친다. 이러한 주기 변동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특정 주기가 어느 정도 지속되는 지 자세하게는 모르고 있다. 현재 2003년초 이후 계속됐던 기술시장의 물결이 이미 피크기를 맞고 있음은 분명하다. 즉, 진정 국면에 들어온 것으로 이는 버블붕괴나 후퇴 국면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를 되돌아보고 반성하고 종합해 최근의 기술을 이해해야 하는 시기다. 그 결과에 따라 하강할 지 상승 할 지가 정해질 것이다. 이를 결정하는 요소야 말로 기술의 진정한 가치가 될 것이다. 지금까지의 경위 현재의 기술시장은 social we..

SNS 2007. 9. 13. 16:45

추가 정보

최신글

05-09 01:27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NerdStory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