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rdStory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erdStory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 NERDstory (730)
    • MIT Sloan (87)
    • Leadership (51)
    • Art Lover (23)
    • Golf Story (26)
    • Power Review (55)
    • O2O (10)
    • Traver Log (16)
    • Macro Econ (15)
    • Block Chain (12)
    • Internet & Beyond (43)
    • Next TV Story (120)
    • Smart Phone (168)
    • SNS (68)
    • App Story (13)
    • Business English (0)

검색 레이어

NerdStory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日 KDDI, 유무선 통합포탈 ‘au one’의 가능성과 과제...구글과의 제휴 향방에 주목

    2007.08.06 by nerdstory

  • [글로벌 웹2.0의 미래 - 미국ㆍ유럽] 유튜브ㆍ마이스페이스, 위기

    2007.08.04 by nerdstory

  • 일촌개념의 폴더공유 서비스 ‘엔프라’

    2007.08.03 by nerdstory

  • 美 소비자, 동영상 시청 수단으로 여전히 ‘TV

    2007.08.03 by nerdstory

  • 블로그와 SNS를 결합해 실시간 커뮤니케이션도

    2007.08.03 by nerdstory

  • Gmail VIdeo

    2007.08.03 by nerdstory

  • 미디어 사이트를 위한 소셜 전략

    2007.08.03 by nerdstory

  • NHK, 'Archives On Demand Service'로 방송

    2007.08.03 by nerdstory

日 KDDI, 유무선 통합포탈 ‘au one’의 가능성과 과제...구글과의 제휴 향방에 주목

CNET, 2007/08/03 일본 IT분야의 전문가이자 인기 블로거인 우메다씨는 그의 베스트셀러인 웹진화론에서 인터넷 세계와 현실세계를 저쪽 편과 이쪽 편으로 비유한 바 있다. Google은 PC를 통해 정보를 인터넷 저쪽 편에 존재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컴퓨터를 실현하는 이른바 저쪽편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 2위 이통사인 KDDI가 Google과 손을 잡고 야심 차게 내놓은 유무선통합 포털 au one 은 일본 내에서 Goolge이 지향하는 웹 민주주의를 모바일로 옮겨놓은, 즉 이쪽과 저쪽의 경계를 허무는 첫 시도라고 평가 받고 있다. 일본에서 휴대전화는 1999년 무선인터넷 iMode의 탄생 이래 줄곧 인터넷과 가깝기는 하나 PC와는 다른 존재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휴대..

Next TV Story 2007. 8. 6. 17:18

[글로벌 웹2.0의 미래 - 미국ㆍ유럽] 유튜브ㆍ마이스페이스, 위기

자유ㆍ안전 보장 '신천지'찾아 끊임없는 개척을 메이저의 반격…'유튜브-마이스페이스' 나아갈 길은 웹 2.0은 콘텐츠 소비자에 머물렀던 일반인들이 콘텐츠 제작ㆍ유통자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했다. 콘텐츠를 변형, 가공하면서 사이버 공간에서 다른 사람들과 자유로운 소통의 기회를 갖는다는 것이 웹 2.0이 가지는 함의였다. 네티즌들에게 소통의 장을 제공하는 인터넷 업체들은 개입을 최소화한다는 것이 암묵적인 합의사항이었다. 그것이야말로 기존 인터넷 사업방식인 웹 1.0과 차별점인 것이다. 이러한 토대에서 탄생한 유튜브와 마이스페이스는 네티즌들의 폭발적인 호응을 얻으면서 불과 1~2년 사이에 급성장세를 보였다. 2005년 2월에 등장한 유튜브는 누구나 손쉽게 다양한 동영상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으로 인해 하..

Next TV Story 2007. 8. 4. 11:12

일촌개념의 폴더공유 서비스 ‘엔프라’

싸이월드 창업자로 유명한 형용준(37세) 씨가 돌아왔다. 싸이월드의 ‘일촌’으로 대표되는 소셜(Social) 네트워크 시장의 포문을 연 주인공 형용준 씨가 이번에는 대용량 웹하드에 메신저 개념이 결합된 ‘엔프라(Enfra)’ 서비스를 들고 나온것. 남녀 짝짓기 사이트 ‘세이큐피드’와 자동주소록 관리서비스 ‘쿠쿠박스’를 제작하고, NHN에서 평범한 샐러리맨 생활을 하기도 했던 형용준 씨. 그가 이제는 P2P 솔루션 업체 이인프라네트웍스(www.enfra.net)의 대표로서 엔프라 서비스를 통해 개인지식네트워크 시장을 일으킬 채비를 단단히 하고 있다. 엔프라 서비스로 국내 P2P 업계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준비에 한창인 이인프라네트웍스 형용준 대표를 만나봤다. 이인프라네트웍스(대표 형용준)는 저작권을 보호..

SNS 2007. 8. 3. 19:10

美 소비자, 동영상 시청 수단으로 여전히 ‘TV

美 소비자, 동영상 시청 수단으로 여전히 ‘TV’를 가장 선호... PC 비율은 11% 시장조사회사 Ipsos Insight가 미국의 동영상 컨텐츠 시청에 대한 조사결과를 5월25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동영상을 온라인으로 보거나 다운로드 한 적이 있는 사람이라도 동영상 시청수단으로 TV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조사 결과 TV프로그램이나 영화를 포함한 동영상 컨텐츠를 TV 화면으로 본다고 답한 사람은 75%에 달했으며, PC를 통해 보는 비율은 11%에 불과했다. 'PC로 동영상을 본다'는 비율이 가장 높은 18~24세의 젊은 층의 경우도 컨텐츠의 60%를 TV 화면으로 보고 있다고 답했다. [그림 1] 美 소비자가 동영상을 보는 수단 한편, 온라인으로 동영상을 즐길 수 있게 되면서 T..

Next TV Story 2007. 8. 3. 19:08

블로그와 SNS를 결합해 실시간 커뮤니케이션도

Japan.cnet, 2007/07/19 일본 IT기업 Drecom GM이 블로그와 SNS 커뮤니티에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결합한 서비스 Buco(http://buco.drecom.jp)를 지난 19일 런칭했다. 지금까지 블로거는 자신의 블로그를 읽는 독자가 어떤 사람인지 알기 어려웠으며, 블로그 독자간의 커뮤니케이션도 어려웠다. 그러나 Buco 서비스는 블로거가 자신의 블로그에 어떤 사람들이 다녀갔는지 발자취 기능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SNS와 같은 커뮤니티 기능을 통해 독자와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메신저를 통해 실시간으로 코멘트를 작성하거나 다른 사람이 남긴 코멘트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독자들은 Buco에 마음에 드는 블로그를 등록하면 어떤 사람들이 자신과 같은..

SNS 2007. 8. 3. 19:00

Gmail VIdeo

Google의 또 다른 시도인가? Collaborative UCC에 대한 시도를 gmail을 통해서 해보려는 듯 하다. Add your clip to this video Help us imagine how an email message travels around the world. Take a look at the collaborative video we started, and then film what happens next. We'll rotate a selection of the clips we receive on this page, and add the best ones to the video. The final video will be featured on the Gmail homepage an..

Next TV Story 2007. 8. 3. 14:01

미디어 사이트를 위한 소셜 전략

MySpace의 비약적인 성공은 웹 콘텐츠의 게시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혼합한 소셜 네트워킹의 아이디어의 도입으로 달성된 것임. 미디어 회사들은 그들의 사이트에 소셜 네트워킹 특징들을 추가적으로 제공할지 여부와 추가 제공한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할 지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으며, 글쓰기용 주문형 소프트웨어(writing custom software)를 포함해야 할 지에 대해서도 조사를 시작함. 다음 3가지 질문에 대해 미국 온라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음. 온라인 사용자들이 미디어 사이트에서 보기를 원하는 소셜 네트워킹의 속성은 무엇인가?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들의 선호도와 다른 온라인 사용자들의 선호도는 어떻게 다른가? 젊은 사용자들에게 가장 인기 속성은 무엇인가? 조사결과, 온라인 사용자..

SNS 2007. 8. 3. 13:24

NHK, 'Archives On Demand Service'로 방송

YouTube的 수요에 대응키위해 NHK에서도 방송 콘텐츠를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분배하는 기술을 내놓키시작했다. 방송기술에서 미래 TV 서비스까지의 연구개발 성과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NHK 기술전시회'가 5월 24일, 도쿄 세타가야구 NHK 방송기술연구소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초고도 정밀 영상시스템인 'Super high vision'(SHV)과 전용 안경 없이 시청할 수 있는 입체 TV시스템의 최근 연구성과가 주목을 받은 가운데, 가장 많은 화제를 불러일으킨 것이 'Archives On Demand Service'이다. 'Archives On Demand Service'는 NHK의 방송 프로그램을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로 문자 그대로 인터넷 전송 프로그램 서비스이다. 이미 ..

Next TV Story 2007. 8. 3. 13:20

추가 정보

최신글

07-07 08:52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86 87 88 89 90 91 92
다음
TISTORY
NerdStory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