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rdStory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erdStory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 NERDstory (730)
    • MIT Sloan (87)
    • Leadership (51)
    • Art Lover (23)
    • Golf Story (26)
    • Power Review (55)
    • O2O (10)
    • Traver Log (16)
    • Macro Econ (15)
    • Block Chain (12)
    • Internet & Beyond (43)
    • Next TV Story (120)
    • Smart Phone (168)
    • SNS (68)
    • App Story (13)
    • Business English (0)

검색 레이어

NerdStory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NERDstory

  • 마이스페이스, 한국 진출 의미

    2007.10.23 by nerdstory

  • Google, 모바일판 Google Docs 출시

    2007.10.22 by nerdstory

  • "위성DMB 생존을 위한 정책건의문"을 보며

    2007.10.22 by nerdstory

  • Go Sox!!

    2007.10.20 by nerdstory

  • Positive 규제 vs. Negative 규제

    2007.10.19 by nerdstory

  • 모바일 SNS 성공요인은?

    2007.10.19 by nerdstory

  • SNS와 VoIP의 결합

    2007.10.19 by nerdstory

  • 빈트 서프, 인터넷 창시자가 보는 21세기 인터넷

    2007.10.19 by nerdstory

마이스페이스, 한국 진출 의미

전세계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의 절대 강자 마이스페이스의 한국 시장 진출은 북미·유럽에 비해 아직 ‘공’을 들이지 못한 동북아 지역, 특히 중국 진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2000만명 회원의 싸이월드가 굳건한 한국 시장 독자 진출은 얼핏 이해가 안되는 대목이기 때문이다. 지인들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형성한 싸이월드와 달리 전세계 사람들과 인맥을 형성할 수 있다는 차별성도 내세울 수 있다. 마이스페이스 한국사무소 관계자도 “싸이월드가 남에게 자신의 일상을 보여주는 과시형이라면 마이스페이스의 키워드는 문화 트렌드를 서로 공유하고 이끌어 가는 ‘라이프스타일’에 초점이 맞춰졌다”고 밝혔다. 4000만명을 넘어선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도 마이스페이스로서는 큰 매력이다. 모바일 ..

SNS 2007. 10. 23. 10:32

Google, 모바일판 Google Docs 출시

Google이 프레젠테이션, 워드 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를 포함한 모바일판 Google Docs를 출시했다. 현재는 모두 읽기 전용으로만 이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Google도 아직까지 휴대단말 스크린으로 문서를 읽기가 쉽지만은 않을 것임을 인정하고 있다. Google의 Zach Lloyd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블로그를 통해 "휴대단말로 문서를 읽으려면 눈을 모아서 봐야만 할 것이다. 또한 현재로선 영어만 지원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Lloyd 엔지니어는 “모바일판 Google Docs는 어디서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강조하면서, "작은 스크린과 까다로운 모바일 브라우저를 통해 문서를 볼 수 있게 하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었다. 스트레드시트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

Internet & Beyond 2007. 10. 22. 16:59

"위성DMB 생존을 위한 정책건의문"을 보며

방통융합이라는 대명제하에 정부가 추진해온 위성DMB사업자 선정 후, 몇년이 지나지 않은 상황에서 사업자로 선정된 TU미디어가 위성DMB의 극심한 적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특단의 조치를 촉구하고 나섰다. 몇 달전 MBC방송에 대한 재전송이 협상이 되었다는 뉴스를 접했다. 하지만, 여전히 지상파 재송신은 승인되지 않고 있다. 방송의 벽이 이렇게 높은 것인지..국민들의 볼 권리를 누가 이렇게 파워게임으로 몰고가는지 궁금할 뿐이다. 생존을 위한 7개 항목의 정책 건의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디지털데일리 2007-10-22 08:42] ◆첫째..

Next TV Story 2007. 10. 22. 09:43

Go Sox!!

Boston Red Sox가 드뎌 Cleveland Indians를 보스톤 홈구장으로 불러들여서 마지막 두경기를 펼치게 되었다. 2004년의 기적을 다시한번 만들기를 기원한다. Go Sox!!! Go Sox! Students hacked the Dome after the Boston Red Sox won the 2004 World Series. Let's hope they do it again – the Sox that is. (photos courtesy of Angel Navedo, MBA Admissions) 출처 : Tong - 정답소년님의 Boston Life통

MIT Sloan 2007. 10. 20. 20:33

Positive 규제 vs. Negative 규제

일요일 오후 학교서 숙제하다가 갑자기 커피가 마시고 싶어져, 후배 인*이랑 던킨도너츠로 커피사러다녀 오는 길이었습니다. 좌회전하면 학교로 가는 숏컷인지라, 좌회전하랬더니, 황색실선에서 좌회전은 불법이라며 못한다고 했지요. "미국은 좌회전금지 싸인이 없으면 어디서나 좌회전할수 있다"고 했더니, 그럴리가 없다며 커피사주기 내기를 하자더군요 학교에 돌아와서 인터넷에서 찾아낸 자료입니다. 물론 제가 이겼지요. 내일은 커피가 공짜입니다.. 다시한번 느낀 미국과 한국의 큰 차이점 중의 하나는, 한국이 최소한을 허용하는 반면 미국은 최소한을 제한한다는 것입니다. 한국은 허가된 것이 아니면 뭐든지 금지된다. (포지티브 규제)미국은 금지된 것이 아니면 뭐든지 해도된다. (네가티브 규제) 포지티브(positive) 규제는..

MIT Sloan 2007. 10. 19. 23:05

모바일 SNS 성공요인은?

실제 많은 SNS사업자들과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모바일 SNS시장 확보를 위해서 경쟁을 시작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사업자의 경우 3G서비스에 통용될 킬러앱을 찾기위해서 UCC나 SNS에 대한 기대가 큰 것 같다. 우리나라의 경우 SKT가 tossi서비스와 isbox서비스를 동시에 론칭하면서 기존의 SNS사업자나 UCC사업자들과의 본격적인 경쟁에 나서는가 하면, 일본은 KDDI의 EZ GREE에 대응해 NTT도코모에서는 ixen을, Softbank에서는 모바일 마이스페이스를 준비중에 있다. 주피터리서치의 조사결과처럼, 휴대폰은 친구들과의 사진, 동영상등의 정보 공유와 SMS나 알리미 기능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활용되어지고 있다. 사업자들은 휴대폰의 특성과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 도구..

SNS 2007. 10. 19. 19:30

SNS와 VoIP의 결합

세계 최대 SNS사이트 MySpace가 다음달부터 전세계 20개국에서 무료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eBay의 인터넷전화 서비스 Skype는 MySpace의 IM서비스에 음성채팅 기능 'MySpaceIM'을 제공키로 양 사가 합의했다고 17일 발표했다. 11월부터 최신 버전의 Skype를 다운받는 MySpace 유저들간에는 무료 VoIP 통화와 인스턴트메시징(Instant Messaging, 이하 IM)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번 제휴는 대표적 SNS 사이트와 VoIP 사업자들간의 제휴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 Skype의 임시 CEO를 맡고 있는 마이클 반 스와이지(Michael van Swaaij)는 "세계 최대의 VoIP 사업자와 세계 최대의 동영상 및 SNS 업체가 손을 잡았다"라고 이..

SNS 2007. 10. 19. 19:28

빈트 서프, 인터넷 창시자가 보는 21세기 인터넷

구글의 부사장 겸 수석 인터넷 전도사인 빈트 서프(Vinton G. Cerf)는 오늘날의 주요 IT인재를 배출해 낸 스탠포드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UCLA에서 컴퓨터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UCLA 재학 당시 미 국방부 첨단연구프로젝트국, 즉 ARPA에서 수퍼컴퓨터 프로젝트에 참가한 것을 인연으로 지난 1969년 UCLA, 스탠포드, 유타, UC산타바바라 등 4개 대학을 잇는 ARPA넷을 개발한 것이, 바로 지금의 인터넷의 전신이 된다. 각설하고, 이번에 그의 방한은 국내의 한 컨퍼런스에 연사로 초청돼 인터넷 전도사로써 그가 생각하는 21세기 인터넷의 방향과 비즈니스 기회, 지적재산권 및 우주로까지 뻗어나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는 등 다소 평이한 내용이었지만, 특유의 연륜으로 ‘인터넷의 미래학자’..

Internet & Beyond 2007. 10. 19. 09:24

추가 정보

최신글

07-06 12:51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75 76 77 78 79 80 81 ··· 92
다음
TISTORY
NerdStory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