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rdStory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erdStory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 NERDstory (742)
    • Leadership (57)
    • Art Lover (51)
    • MIT Sloan (87)
    • Golf Story (29)
    • Traver Log (19)
    • Power Review (55)
    • O2O (10)
    • Macro Econ (15)
    • Block Chain (12)
    • Internet & Beyond (43)
    • Next TV Story (120)
    • Smart Phone (168)
    • SNS (68)
    • App Story (13)
    • Business English (0)

검색 레이어

NerdStory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코로나19가 가져온 성과관리 혁신의 시대

    2023.08.28 by nerdstory

  • 미국의 분노

    2023.08.18 by nerdstory

  • MZ세대가 바라는 조직문화의 방향

    2023.07.01 by nerdstory

  • 이직률 제로는 과연 자랑일까?

    2023.06.29 by nerdstory

  • 세계 대학 평가 순위 2023년

    2023.06.29 by nerdstory

  • MZ세대를 위한 워라벨

    2023.06.26 by nerdstory

  • 아마추어 골퍼들이 뽑은 골프장 Top5

    2023.04.18 by nerdstory

  • “퇴직하면 뭘 하지?” 80대 선배들이 알려준 지금 해야 할 3가지

    2023.04.03 by nerdstory

코로나19가 가져온 성과관리 혁신의 시대

코로나19 팬데믹 종식 이후 기업은 새로운 혼란에 빠졌다. 갑작스럽게 실시된 재택근무는 출퇴근 시간과 불필요한 회의시간 단축 등 비효율을 개선하고 핵심 업무 집중도를 높이는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젊은 구성원을 중심으로 정해진 시간과 업무 범위 내에서 받은 만큼만 일하겠다는 이른바 '조용한 퇴사(Quiet Quitting)'가 세계적인 현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것이다. 오죽하면 전미경영학회(Academy of Management) 연례회의에서 경영학자들이 “기업의 생산성 위기 극복을 위한 새로운 인재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을까. 기성세대의 눈에 MZ세대는 너무 이기적이고 개인적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실제로 이들은 자아 실현, 자기 존중과 성장, 그리고 공정한 평가와 ..

Leadership 2023. 8. 28. 19:00

미국의 분노

1300원쯤 되는 원·달러 환율이 반 토막(700원) 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일단은 환호할 일이다. 수입물가의 비중이 31%인 만큼 2.7%인 물가상승률이 1%대로 낮아질 것이다. 해외 관광이 편해지고 유학생 학비 걱정도 크게 덜 것이다. 경제 전체로는 저주다. 가격 경쟁력이 낮아져 수출이 급감할 것이다. 가계와 기업은 물가가 더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소비와 투자를 미룰 것이다. 성장 활력이 떨어지고 일자리가 줄어드는 악순환이 불가피하다. 이것은 40여 년 전 일본에서 실제 발생했던 일이다. 미국은 1985년 9월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등 4개국과 공조해 엔화 가치를 1달러당 237엔에서 하루아침에 128엔까지 약 2배 절상시켰다(소위 '플라자 협정'이다). 경기 침체를 우려해 금리를 대폭..

Power Review 2023. 8. 18. 09:08

MZ세대가 바라는 조직문화의 방향

최근 플로깅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다. 이삭을 줍는다는 뜻에서 파생된 플로깅은 조깅하며 쓰레기를 줍는 행동을 말하는데, MZ세대를 중심으로 하나의 일상력 챌린지로 자리 잡으며 가치있는 여행의 한 패턴으로까지 자리잡고 있다. 일상력 챌린지는 작은 습관으로 일상을 가꾸고 루틴을 형성해 성취감을 얻는 MZ세대의 특징을 대변한다. 매일 아침 7시에 일어나 10분간 명상하기, 매일 2리터의 물 마시기, 아침 공복에 유산균 챙겨 먹기, 일기 쓰기 등 큰 목표는 아닐지라도 실천이 가능한 목표를 설정해 매일 꾸준히 반복한다. 너무 익숙하고 사소해 다른 세대들에게는 크게 관심을 받지 못하는 이런 챌린지들을 MZ세대는 SNS에 활동 여부를 체크하고 기록하며 주변에 인증하거나 스스로에게 동기부여하는 데 활용하고..

Leadership 2023. 7. 1. 01:41

이직률 제로는 과연 자랑일까?

“우리 회사는 이직률이 거의 제로에 가깝습니다.”기업의 CEO가 자랑하듯 하는 말이다. 얼핏 들으면 조직에 대한 만족도와 충성심이 높다는 뜻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 말에는 리더십의 시야에서 한 번쯤 의심해볼 필요가 있는 맹점이 숨어 있다. 이직률이 낮다는 것이 과연 조직의 건강함을 의미하는가? 아니면 변화와 순환이 정체되어 있다는 신호는 아닐까?이직률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구성원 일부가 회사를 떠난다는 사실은 그 자체로 조직에 경각심을 준다. 누군가의 이탈은 조직의 구조, 문화, 업무방식 중 일부가 맞지 않았다는 뜻이며, 그 빈자리는 필연적으로 새로운 구성원으로 채워진다. 이때 외부로부터 들어온 인재는 기존 조직에 없는 질문을 던진다. 왜 이렇게 일하나요? 왜 이 방식은 바뀌지 않았나요? 이러한 질문..

Leadership 2023. 6. 29. 12:41

세계 대학 평가 순위 2023년

I'm proud of~

MIT Sloan 2023. 6. 29. 12:38

MZ세대를 위한 워라벨

유연한 제도 개편의 필요성 사람들이 직장에서의 헌신을 줄이고 직장 밖의 행복을 추구하기 시작하면서 워라벨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MZ세대를 위한 기업의 직원 복지도 단순한 구내식당 메뉴나 휴양시설 지원을 넘어선다. 엔데믹을 겪으며 최근에는 신체적이고 정신적으로 건강한 삶과 일과 생활의 균형을 추구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복지에 포함되고 있다. 특히 어린 자녀를 둔 직원들은 아이들의 소중한 어린 시절을 함께 보내고 싶은 강한 욕구를 가지고 있다. 또한, MZ세대는 육아는 당연히 엄마와 아빠가 함께 해야 한다고 믿고 있다. 이전에는 장시간의 근무가 가정과 자녀를 위한 헌신으로 여겨졌지만, 요즘은 이러한 생각을 갖는 MZ세대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그래서 회사가 직원들의 웰빙을 지원해줄 필요성..

Leadership 2023. 6. 26. 22:59

아마추어 골퍼들이 뽑은 골프장 Top5

7개 권역별 골퍼가 만족한 골프장도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먼저 수도권 대중제 골프장 '톱5'에는 페럼클럽, 레이크사이드, 화성 상록, 베어크리크 포천, 베어즈베스트 청라가 이름을 올렸고 '대전·충청'에서는 레이캐슬, 천안상록, 세종필드, SG아름다운골프&리조트, 골든베이가 상위 5개 골프장에 뽑혔다. 또 대구·경북에서는 뉴스프링빌2, 한맥, 군위 오펠, 경주, 문경이, 강원에서는 설해원, 세이지우드, 라비에벨, 소노펠리체, 파인리즈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https://www.mk.co.kr/news/sports/10715326 [MK 대한민국 골프장 평가] 전국 회원제 골프장 순위 - 매일경제 매일경제신문은 한국 골프장의 ‘옥석’을 가려 선진 골프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한국리서치와 공동으로 전국 골..

Golf Story 2023. 4. 18. 22:57

“퇴직하면 뭘 하지?” 80대 선배들이 알려준 지금 해야 할 3가지

“퇴직하면 뭘 하면서 살아야 할까?” 아무리 유능하고 성실한 직장인이라도 언젠가는 마주쳐야 하는 정년. 약간의 시간 차이만 있을 뿐, 누구에게나 일선에서 물러나야 하는 때가 닥친다. 불안하고 막막한 퇴직 이후의 삶,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시행착오를 줄이려면, 나보다 앞서 길을 걸어간 선배들의 조언이 유용한 길잡이가 된다. 80대 선배들이 “퇴직하고 나서 이걸 하길 참 잘했다, 시간을 되돌려도 이것만은 꼭 하겠다”고 추천하는 건 무엇일까? 일본 잡지 프레지던트가 이달 초 80대 남녀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내용을 토대로, 조선일보 [행복한 노후 탐구]가 ‘퇴직 후에 해서 참 좋았던 3가지’를 정리해봤다. 건강하려면 많이 걷고 치아 관리하라“ 80대를 건강하게 살고 싶다면, 60~70대부터 미리..

Leadership 2023. 4. 3. 22:02

추가 정보

최신글

11-25 06:21

인기글

반응형

페이징

이전
1 ··· 3 4 5 6 7 8 9 ··· 93
다음
TISTORY
NerdStory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