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rdStory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erdStory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 NERDstory (742)
    • Leadership (57)
    • Art Lover (51)
    • MIT Sloan (87)
    • Golf Story (29)
    • Traver Log (19)
    • Power Review (55)
    • O2O (10)
    • Macro Econ (15)
    • Block Chain (12)
    • Internet & Beyond (43)
    • Next TV Story (120)
    • Smart Phone (168)
    • SNS (68)
    • App Story (13)
    • Business English (0)

검색 레이어

NerdStory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책] 트렌드코리아 2022

    2021.11.15 by nerdstory

  • Human_One

    2021.11.11 by nerdstory

  • 소각된 뱅크시 실물작품과 NFT

    2021.06.02 by nerdstory

  • Best US Music Schools 2020

    2021.05.18 by nerdstory

  • [책] 2030 축의 전환, The Future of Everything

    2021.02.04 by nerdstory

  • 디파이 (DeFi : decentralize finance)

    2021.02.04 by nerdstory

  • 미술작품 세금은 어떻게 되나요?

    2020.11.12 by nerdstory

  • [책] 김난도 교수의 트렌드 코리아 2021

    2020.10.14 by nerdstory

[책] 트렌드코리아 2022

김난도교수 김난도 교수팀이 2007년부터 15년째 매년 이맘 때 그 다음해의 10가지 '트렌트 코리아'를 내놓기는 했지만 별 관심이 없었다. 1년만에 바뀌는 트렌드를 누가 감히 예측할 수 있을까하는 의문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작년 한해를 지나면서 김난도 교수의 트렌드 키워드에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는 계기가 있었다. 재작년에 발표한 '트렌드코리아 2020' 키워드는 MIGHTY MICE(마이티 마우스)였고, 첫 트렌드 키워드인 M이 멀티페르소나였다. 작년 한해 유산슬을 필두로 열풍이 분 부캐(부 캐릭터)가 바로 멀티페르소나 였다. 김난도 교수가 발표한 내년의 10대 트렌드 키워드로 'TIGER OR CAT'을 뽑았다. 니체는 "인생의 사관학교에서, 우리를 죽이지 못하는 것은 우리를 더 강하게..

Power Review 2021. 11. 15. 20:29

Human_One

NFT는 사기캐라 생각했었는데 이건 찐이다. 비플(Beeple) 의 NFT 작품 'Human One'. 4면이 LED 디스플레이로 둘러싼 2.1m 높이의 실물 케이스 안에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배경 속을 걸어가는 헬멧을 쓴 우주인(?)의 모습이 보인다. 기술적으로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저장된 24시간 분량의 비디오 중 1분 짜리 비디오 클립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보여주는 방식으로 작동한다고. 특기할 점은 영상 속 클립을 작가가 평생에 걸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한다는 것이다. 비플은 "전통적인 미술작품은 완성된 순간 멈춰지게 마련이다. 그런데 나의 이번 작품은 (유한성을 뛰어넘어) 계속 업데이트함으로써 진행 중인 대화같은 느낌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일종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미디어 아트. 비플의 이전 작..

Block Chain 2021. 11. 11. 19:43

소각된 뱅크시 실물작품과 NFT

이 작품은 뱅크시의 2006년작 라는 작품입니다. Moron의 사전적 의미는 'a very stupid or foolish person'입니다. 뱅크시의 는 경매장에서 그림을 사는 모습을 비꼬는 그림입니다. 현대미술 시장에 대한 풍자적인 시각을 담고있습니다. 이 작품 오른편엔 "I Can't believe you morons actually buy this shit” 이라는 문구가 적혀있기도 하네요. 실제로 뱅크시는 2018년 소더비에서 ‘소녀와 풍선’이란 작품이 경매에서 낙찰된 순간 ‘원본’을 분쇄기로 절반을 파쇄했었죠. 아이러니하게도 작품을 낙찰받은 이는 파쇄된 작품 가격이 더 오르며, 그의 조롱과 파괴가 거꾸로 그의 명성과 작품의 가치를 더 올리는 역설이 발생하긴 했지만, 어쨌든 뱅크시는 미술계에 ..

Block Chain 2021. 6. 2. 11:45

Best US Music Schools 2020

2020년 미국 음악대학 Top 10 인디애나대 제이콥스 음악대학 쥴리어드 음악대학 미시건대 음악대학 예일대 음악대학 커티스 음대 라이스 대 쉐퍼드 음악대학 서던캘리포니아 대 쏜튼 음악대학 로체스트대 이스트만 음악대학 맨하튼 음악대학 버클리 음악대학

카테고리 없음 2021. 5. 18. 18:40

[책] 2030 축의 전환, The Future of Everything

[2030 축의 전환]은 제목처럼 10년 뒤 우리 인류에게 다가 올 미래를 예측하는 책이다.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생각지도 못한 일이 생기며 엉뚱한 미래가 오기도 한다. 10년전 오늘 2021년의 코로나 상황을 누가 상상이나 했겠는가. 생각지도 못한 일이 벌어질 수도 있지만 예측이 가능한 미래도 있다. 출생률이 그러하다. 선진국들의 출생률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반면 아프리카나 동아시아 같은 곳은 인구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 책은 우리가 종종 간과하는 작지만 예측가능한 변화들이 하나둘씩 축적되면서 모든 것이 한꺼번에 뒤바뀌는 시대적 변화가 일어난다는 가설을 가지고 미래를 예측한다. 미래에 있을 변화를 예측하는 키워드로 8개가 제시되었다. 미래 키워드 : 낮은 출산율, 실버세..

Power Review 2021. 2. 4. 16:12

디파이 (DeFi : decentralize finance)

디파이(Defi)는 탈 중앙화를 의미하는 'decentralize'와 금융을 의미하는 'finance'의 합성어다. 코인(암호화폐)에 투자한 경우, 미래 가치에 대한 기대 수익때문에, 또는 변동성이 커서 당장 팔고 싶지 않을 수 있다. 팔고 싶더라도 유동화가 쉽지 않다는 약점이 있다. 이러한 현금유동성을 해결하기 위해 가상자산인 코인 담보 대출을 고안하게 되었다. 코인을 담보로 현실세계의 돈을 빌려주는 코인 금융이 탄생한 것이고 이를 디파이(Defi)라고 부른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정부나 기업 등의 중앙기관의 통제를 받지 않는다. 증권사, 카드사 등의 중개 없이 개인이 직점 예금이나 결제, 그리고 투자 등의 액션을 취할 수 있다. 이는 분산 원장을 통해 중앙정부의 통제 없이도 증..

Block Chain 2021. 2. 4. 16:01

미술작품 세금은 어떻게 되나요?

미술품의 양도차익은 기타소득으로 간주해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에 비해 세금이 적습니다. 기타소득은 일반적으로 종합소득세율에 따라 계산되지만, 미술품 양도는 종함소득과 무관하게 일괄적으로 20%의 세율로 과세 됩니다. 미술품은 작품 양도가격을 기준으로 판매자가 기타소득세를 내게됩니다만, 국내 생존 작가 작품에는 거래 가격과 상관없이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예) 아직도 작품활동을 하시는 박서보 작가의 작품은 세금이 없지만, 고 유영국 작가의 작품에는 기타소득세가 붙습니다. 또한, 양도가격이 6,000만원 이하면 비과세 혜택을 받아서 세금이 없습니다. 양도 작품 가격이 6,000만원 이상일 땐 작품 가격에서 필요경비(양도가액의 80%를 인정)를 제외한 금액에 대해 기타소득세 20%+ 지방소득세2%가 붙습니다..

Art Lover 2020. 11. 12. 20:22

[책] 김난도 교수의 트렌드 코리아 2021

트렌드 코리아. 김난도 교수팀이 2007년부터 14년째 매년 이맘 때 그 다음해의 10가지 '트렌트 코리아'를 내놓기는 했지만 별 관심이 없었다. 1년만에 바뀌는 트렌드를 누가 감히 예측할 수 있을까하는 합리적 의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 한해를 지나면서 김난도 교수의 트렌드 키워드에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는 계기가 있었다. 작년에 발표한 '트렌드코리아 2020' 키워드는 MIGHTY MICE(마이티 마우스)였고, 첫 트렌드 키워드가 멀티페르소나였다. 올 한해 유재석, 유산슬을 필두로 불었던 부캐(부 캐릭터) 열풍을 보며 소름이 돋았다. 멀티페르소나라는 트렌드 키워드를 시장과 소비자 분석으로 뽑아낸 트렌드 코리아가 경이롭기까지 했다. 김난도 교수가 발표한 내년의 10대 트렌드 키워드로 '카..

Power Review 2020. 10. 14. 09:34

추가 정보

최신글

09-01 05:01

인기글

반응형

페이징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93
다음
TISTORY
NerdStory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