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rdStory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erdStory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 NERDstory (730)
    • MIT Sloan (87)
    • Leadership (51)
    • Art Lover (23)
    • Golf Story (26)
    • Power Review (55)
    • O2O (10)
    • Traver Log (16)
    • Macro Econ (15)
    • Block Chain (12)
    • Internet & Beyond (43)
    • Next TV Story (120)
    • Smart Phone (168)
    • SNS (68)
    • App Story (13)
    • Business English (0)

검색 레이어

NerdStory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MIT Sloan

  • MIT, 찌꺼기가 남지않는 케챱병 개발

    2012.05.26 by nerdstory

  • 돈 때문에 일하지 말자 - 스티브잡스

    2010.09.19 by nerdstory

  • 성공적 엘리베이터 피치(Elevator Pitch)를 위한 노하우

    2009.10.23 by nerdstory

  • MIT Code-Breaker들을 향한 구글의 구애

    2009.09.22 by nerdstory

  • 2010년 미국 Best Colleges 랭킹

    2009.08.21 by nerdstory

  • Seoul MIT Sloan on the Road

    2009.08.13 by nerdstory

  • Dean Schmittlein on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2009.07.15 by nerdstory

  • Catalyst Code

    2009.06.21 by nerdstory

MIT, 찌꺼기가 남지않는 케챱병 개발

몇 일전 트윗(http://dok.do/KdmqAN)했던 것처럼, 올해도 MIT Sloan $100K는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습니다. 2012년 Finalist중에서는 모바일, 소셜이나 클라우드 등 제 관심분야도 많았지만 오늘은 LiquiGlide라 불리는 기술을 소개해봅니다. 아래 그림처럼 케챱이나 마요네즈를 사용하다보면 마지막 남은 찌꺼기가 병에 달라붙어 흔들어서 짜내보신 경험들이 있으시죠? 병을 재활용하려면 내부에 있는 찌꺼기를 물을 넣어 씼어야 했던 불편한 진실! MIT개발팀이 이에 착안해서 개발한 LiquiGlide는 케챱이나 마요네즈 등 병에 들어있는 소스나 기타 식재료가 병에 달라붙지 않도록하는 기술입니다. 특허를 출원한 상태라 자세한 원리나 구성은 발표되지않았지만, 구조적으로 액체와 같은 물..

MIT Sloan 2012. 5. 26. 20:18

돈 때문에 일하지 말자 - 스티브잡스

I was worth over 100million dollars when I was 25. And it wasn’t that important, because I never did it for the money 내가 스물다섯 살 때 나의 가치는 1억 달러가 넘었다. 하지만 그건 중요한 게 아니었다. 나는 돈을 벌려고 일을 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Steve Jobs 돈 때문에 일하지 말자. 성공한 사람들은 창조하는 걸 좋아한다. 그들은 사업을 시작하거나 개선하거나 비즈니스 모델 또는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는 걸 선호한다. 무엇보다 성장하는 걸 즐긴다.

MIT Sloan 2010. 9. 19. 22:08

성공적 엘리베이터 피치(Elevator Pitch)를 위한 노하우

엘리베이터 피치(Elevator Pitch)는 투자자(잠재고객)와 엘리베이터에 함께 탑승하는 행운이 왔을 때,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굉장히 짧은 시간(30초~1분)이내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전달하는 스피치를 뜻 합니다. 엘리베이터 피치의 성공은 엘리베이터에서 내리기 전에 투자자의 명함을 받고 약속 시간을 잡는 것입니다. 엘리베이터 안에서 투자자와 단둘이 만났다고 가정해 봅시다. 엘리베이터안에서는 길어야 1분 가량의 시간이 허락됩니다. 이번 기회를 놓친다면 언제 투자자를 마주 칠 기회가 생길지 알 수 없습니다. 투자자가 목적한 층에 내리기 전에 투자자가 나의 사업 계획에 관심을 가지게 하고 내 사업에 대해서 좀 더 들어보고 싶은 궁금증을 자아내게 해야 합니다. 즉 '1분 내의 스피치로 투자자의 관심을 끌어 ..

MIT Sloan 2009. 10. 23. 17:13

MIT Code-Breaker들을 향한 구글의 구애

영화 '뷰티풀 마인드'같은 일이 현실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정보기관이나 군부대에서만 관심을 가져왔던 일들에 Tech기업들이 뛰어들기 시작한 것이다. 구글도 예외는 아닌 듯. 뷰티풀마인즈를 찾기위해 구글이 MIT 캠퍼스에 “If you can figure this out, you may have a future with Google.” 라는 프래카드를 걸었다. 암호화된 내용은 구글의 연락처로서, 이 암호코드를 크랙해서 확인된 연락번호로 전화를 하면 된다. 이 코드를 크랙한 첫 학생은 TechCrunch 티셔츠를 받거나, 구글에 취업을 할 수 있다고... MIT학생들의 반응 : 이 코드를 크랙해보는 건 재밌겠다. 하지만 just for fun. 구글 취업기회에는 글쎄...라는 반응.

MIT Sloan 2009. 9. 22. 07:00

2010년 미국 Best Colleges 랭킹

출처 : US News & World Report 순위 대학 1 Harvard, Princeton 3 Yale 4 MIT, CalTech, Stanford 8 Columbia, Chicago 10 Duke 11 Dartmouth 12 Northwestern, Washington(St. Louis) 14 Johns Hopkins 15 Cornell 16 Brown 17 Emory, Rice Vanderbilt 20 Notre Dame, 21 UC Berkeley 22 Carnegie Mellon 23 Georgetown 24 UCLA, Virginia 참고로, 전공 분야별 평가 중 경영학에서는 U Penn이 1위를 차지했고, MIT와 UC버클리대가 공동 2위다. 공학 분야에서는 MIT가 1위를 기록했고, ..

MIT Sloan 2009. 8. 21. 08:00

Seoul MIT Sloan on the Road

Description: You and your significant other are invited to attend any of the events we will be hosting around the world this fall. Our "MIT Sloan-on-the-Road" receptions include a presentation of the goals and character of our MBA Program and offer a chance to talk with the people who know MIT Sloan the best ? our MBA Admissions staff and alumni. Where: Seoul, Korea Location: JW Marriott Seoul H..

MIT Sloan 2009. 8. 13. 01:00

Dean Schmittlein on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Businesses must innovate if they want to cope with change. David Schmittlein, dean of MIT Sloan School of Management talks about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MIT Sloan 2009. 7. 15. 00:08

Catalyst Code

슬론스쿨 재학시 학장이셨던 슈말렌지 교수가 '카탈리스트 코드(Catalyst Code)'라는 책을 출간했다.슈말렌지 교수는 '카탈리스트 코드'에서 '촉매 기업'을 들고 나왔다.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물질 사이에서 반응을 일으키거나 반응을 촉진하는 물질인 촉매(觸媒·catalyst))와 닮았다는 이유에서다. 슈말렌지 교수는 촉매 기업의 유형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고 소개했다. ①중개자(matchmakers) ②관중 동원자(audience builders) ③비용 절감자(cost minimizers)가 그것이다. 중개자는 이베이, 나스닥처럼 거래 성사를 위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기업들이다. 관중 동원자는 구글이나 월스트리트저널, BBC처럼 많은 손님들을 끌어 모은 뒤 광고를 실어 돈을 버는 회사들을 말한다. ..

MIT Sloan 2009. 6. 21. 23:50

추가 정보

최신글

07-10 05:04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 11
다음
TISTORY
NerdStory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